연구 내용 | [연구 분야]
- 건설 구조물 안전 및 유지관리 기술
- 지하 탐사 및 매핑 기술 (GPR)
- 댐퍼 및 제진 기술
- 복합재료 및 콘크리트 역학 특성
- 센싱 및 모니터링 시스템
[대표 연구 내용]
1. GPR을 이용한 지하 맵핑 연구
문제 정의: 지하매설물, 지하수로, 공동 등 지하 구조물 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 기반시설의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재난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기술 우위: 최대 5m 깊이까지 탐지가 가능하고, 0.25m 이하의 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8MHz 구동 주파수 GPR 안테나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. 지표면 직접 반사파를 제거하는 수신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, 2D 및 3D 프로파일 해석 기술을 통해 지하 매설 정보를 정확히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.
사업 가치: 사회 기반시설을 보호하고 재난 위험을 방지 및 대응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건설 현장 및 도시 안전 관리의 효율성 또한 증대됩니다.
2. 댐퍼 및 제진 기술 개발
문제 정의: 지진 및 외부 진동으로부터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.
기술 우위: MRG(Magneto-Rheological Grease) 댐퍼, 전단형 MRG 댐퍼, 폐쇄식 전단형 MRG 댐퍼 등 다양한 댐퍼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. 해당 기술은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.
사업 가치: 건축물, 교량 등 주요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재난 대비 시스템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.
3. 생체모방 센싱 시스템 및 무선 계측 시스템
문제 정의: 구조물의 건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필요합니다.
기술 우위: IoT 기반 MIMO형 생체모방 센서노드 및 센싱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. 또한 달팽이관 원리를 기반으로 한 무선 계측 시스템을 통해 동적 응답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
사업 가치: 실시간 구조물 건전도 진단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, 선제적 안전 관리가 가능해집니다.
4. 강관 추진마찰저항력 산정 기법 연구
문제 정의: 터널 굴착 시 강관에 작용하는 마찰저항력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됩니다.
기술 우위: 모형 토조 실험 및 수치해석을 통해 강관 추진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추정하고 검증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습니다.
사업 가치: 터널 및 지하 구조물 건설 시 공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, 공사 비용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 |